산케이, 위안부 문제관련 ‘악의적’ 여론조사 논란
일본 강경 보수지인 산케이신문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여론조사를 하면서 사실에 맞지 않는 악의적 질문으로 특정 답변을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케이는 계열 방송사인 후지뉴스네트워크(FNN)와 함께 지난 16~17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이른바 위안부 문제에 관한 고노담화에는 일본 관헌이 여성을 강제로 위안부로 만들었다고 받아들일 수 있는 기술이 있다. 그것을 뒷받침하는 공적자료가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노담화를 수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라고 물었다.
55.0%가 고노담화를 수정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그렇지 않다는 답변은 27.5%로 나타났다. 위안부 동원이 강제적임을 뒷받침하는 공적인 근거가 없다는 식으로 사실을 왜곡해 응답자에게 전달한 뒤 답변을 유도한 셈이다. 산케이는 최근 고노담화 발표 전에 이뤄진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청취 조사가 부실하게 이뤄졌다는 등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해 사과한 고노담화를 부정하는 보도 태도를 보여왔으며, 이번 설문은 이런 보도를 전제로 이뤄진 것이다.
하지만 산케이는 일본군이 1944년 2월부터 약 2개월간 네덜란드 여성 35명을 연행해 자바섬 스마랑 근교에 억류해 위안부로 삼은 사건을 단죄하기 위해 전후 인도네시아 바타비아(현 자카르타)에서 열린 BC급 전범 군사재판의 공소장과 판결문 등 위안부 강제동원을 입증하는 공적인 문서를 외면해 왔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 역시 바타비아 재판기록은 강제연행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자료가 아니라는 답변을 내놓는 등 산케이와 유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일본 기업이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한국 법원의 판결에 관한 설문에서도 ‘청구권 문제가 완전히,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일본 정부의 견해를 부연해 답변을 유도했다. 이 문항에선 ‘한국 법원 판결에 납득할 수 없다’는 답변이 82.7%나 됐다. 한국을 외교·경제활동의 상대국으로 신뢰할 수 있느냐는 설문에는 69.3%가 ‘신뢰할 수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