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 북한 전문가들은 대체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했지만 북한에서 급변사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표시했다. 대미, 대일관계를 비롯해 북한의 대외정책 역시 당분간 휴지기를 보내겠지만 김 위원장 시대의 기조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정일 이후 ’남북관계의 장래에는 뚜렷한 비전을 내놓지 못했다.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왼쪽), 기미야 다다시 도쿄대 대학원 교수/경향신문 DB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는 19일 경향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은 후계자가 정해지는 등 체제가 정비된 상태”라며 큰 혼란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와다 교수는 “하지만 김정은이 후계자라고 해도 아직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에 불과한 만큼 집단지도체제가 상당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와다 교수는 김 위원장이 중병에도 불구, 쉼없이 일하다가 사망한 모습이 후계체제 정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기미야 다다시(木宮正史) 도쿄대 대학원 교수는 “김일성 주석이 사망했을 때 처럼 북한이 장기적으로 유고체제를 가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내다봤다. 당시엔 식량난 등 여러가지 사정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때처럼 북한 지도부가 3년씩이나 은둔할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고하리 스스무(小針進) 시즈오카(靜岡)현립대학 교수도 “북한정권이 들어선지 벌써 60년이 넘었고, 일종의 왕조형 권력체제라는 점에서 후계체제의 권력기반도 안정적일 가능성이 높다”며 “김정은과 북한 지도부가 협력해 체제를 공고화하는 데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한의 대외정책은 김 위원장의 정책노선이 그대로 계승되리라는 전망이 많았다. 와다 교수는 남북관계에 대해 “특별히 한국과의 관계개선은 모르겠지만, 남북이 대립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고하리 교수는 “한국 대통령이 북한에 조의를 표할 것으로 보느냐”고 반문하면서 “어찌보면 김 위원장의 사망으로 한국 정부가 입장을 취하기가 가장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북·일관계가 김정일 시대보다 진전될 가능성이 있고, 중국의 영향력이 더 강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와다 교수는 “대미관계 개선이라는 큰 방향이 선대체제에 마련된 만큼 결국엔 그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기미야 교수도 최근 북한이 북·미관계 개선과 6자회담 재개에 전향적이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후계체제에서도 대외정책의 기본 방향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하리 교수는 “북한의 후계체제 정비에 중국이 이전보다 더 크게 관여할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이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북한에 식량과 에너지를 더 지원해 후계체제에 영향력을 높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고하리 교수는 특히 일본 정부가 김 위원장의 사망에 신속히 애도를 표시한 점에 주목하면서 북·일관계가 의외로 진전될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그는 “김정은이 일본인 납치문제를 지시한 당사자가 아닌 만큼 의외로 이 문제에 전향적으로 나올 수 있고, 그럴 경우 북·일관계가 진전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럴 경우 아버지를 욕되게 할 수 있다는 부담도 있다”고 말했다. 반면 기미야 교수는 “김정은 체제가 정비될 때까지는 납치문제 등에서 태도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말했다.
'일본의 오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이즈미 "김정일 사망 애도...평양선언 앞으로도 중시해야" (0) | 2011.12.20 |
---|---|
이종원 교수 "北, 후계·경제 안정 위해 중국 의존 커질 것" (0) | 2011.12.20 |
일본 정부, 김정일 사망에 "애도의 뜻" (0) | 2011.12.20 |
일본 여왕 인정않기로 (0) | 2011.12.19 |
MB의 위안부 강공에 일본 당혹 (0) | 201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