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여적]보수·진보가 함께하는 통일 대화

서의동 2019. 8. 4. 22:28

2018.11.01  

‘남남(南南)갈등’이란 말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한 것은 김대중 정부 시절이다. 남북정상회담이 열리고, 다방면의 교류협력이 추진되자 보수야당은 ‘대북 퍼주기’와 색깔론으로 공격했다.

 

국회는 남남갈등의 격전장이었다. 1차 남북정상회담 한 달 뒤인 2000년 7월 당시 김기춘 한나라당 의원은 대정부 질문에서 “정상회담 때문에 통일지상주의적 논의가 분분하고 주적개념이 흔들리는 등 내부의 이념교육에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고 했다. 그해 11월에는 같은 당 김용갑 의원이 국가보안법 개정 논의를 제기한 민주당에 대해 ‘조선노동당의 2중대’라고 지목하는 바람에 국회가 파행했다.

 

보수야당은 진보 정권의 대북정책을 집요하게 공격해 정치적 반사이익을 챙겼다. 남남갈등의 전선은 사회 곳곳으로 확대됐고 인터넷 공간을 오염시켰다. 보수정권이 들어서자 남남갈등에서 파생한 ‘종북몰이’가 남북관계를 평화적으로 풀려는 세력들을 고립시켰다. 올 들어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이 성과를 내자 남남갈등이 다시 불붙었다.

 

‘남남갈등은 남북관계 발전의 필연적 부산물인가. 이 고리를 끊을 길은 없을까.’ 이런 고민을 공유해온 진보·보수 시민단체와 종교계가 사회적 대화기구를 결성했다. 1일 발기인 대회를 가진 ‘평화·통일비전 사회적 대화를 위한 전국시민회의’에는 진보 계열의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보수쪽의 범시민사회단체연합, 한국종교인평화회의가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우리가 한마음이 돼 평화를 열망할 때 주변 열강도 우리를 존중하고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해 협력하게 될 것”이라며 ‘평화·통일비전 사회적 합의를 위한 범국민 대토론’을 제안했다.

 

원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축사에서 “서로가 만나 대화를 시작했다는 것만으로 큰 발걸음”이라며 “최소 공감대를 만들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무성 자유한국당 의원도 “대화로 오해와 갈등을 풀고 평화통일의 한길에서 하나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격려했다. 보수·진보가 한자리에 모인 것 자체가 이채로울 정도로 남남갈등의 골은 깊어져 있다. 향후 대화가 결실을 맺을지도 가늠하기 어렵다. 그러기에 우선 박수부터 보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