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은거 본거

<십자군>당대의 시각으로 본 십자군의 역사

서의동 2009. 10. 6. 11:23
토머스 F 매든 지음(권영주 옮김) 루비박스 

  예루살렘과 그리스도의 성묘를 이슬람의 지배로부터 탈환하겠다는 목적으로 시작된 십자군 운동에 대해 정리한 책이다. 저자는 십자군에 대한 현대 역사가들의 부정적 편견을 걷어내고 당대의 시각으로 조명했다. 현대의 역사가들은 십자군이 유럽의 ‘무용지물’들이 모인 집단, 즉 영지나 작위를 계승할 권리가 없는 귀족의 둘째 또는 셋째 아들, 노상강도들, 탐욕스러운 수도사들로 폄훼했다. 또 유럽최초의 식민지 전쟁이자 이슬람에 대한 원시 제국주의로 묘사하는 서술들이 많다. 

  
하지만 최근들어 십자군 원정과 관련한 대량의 고문서들이 분석되면서 십자군의 다른 면모가 발견되고 있음을 저자는 지적한다. 십자군에 참가한 기사들의 대부분은 영주의 아들들이 아니라 영주 자신이었고, 잃을 것이 없는 사람들이 아니라 잃을 것이 매우 많은 사람들이었다는 것이다. 기사가 십자군 원정에 나가기 위해서는 연수입의 대여섯배에 해당하는 자금이 필요했고, 이는 십자군 기사와 그의 일가가 재산면에서 심각한 타격을 받음을 의미했다.(44쪽)
  요컨대 치러야할 대가는 너무 큰 반면 돌아올 보상은 너무 낮아 사업으로 치면 리스크가 큰 사업이었다. 왜 수천명의 기사와 귀족들이 이런 리스크를 감당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역시 당대의 시각이 필요하다. 저자는 대부분의 귀족들이 신에 대한 꾸밈없고 진실한 사랑때문에 십자군에 참가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들 가문들은 이미 수세기 동안 유럽의 교회와 수도원에 토지와 부를 아낌없이 기증해왔다. 귀족은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을 받았으므로 그 은총의 결실을 하느님의 백성과 교회에 되돌려주는게 그들의 의무였다. 그리고 십자군 원정은 그런 의무를 수행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45쪽)
 이런 신앙심과 순수한 이상과 함께 동시에 오만하고 잔인한 양면을 지닌 것이 십자군의 실체였다는 지적도 빼놓지 않는다. 십자군 원정은 전투능력을 자기 자신을 구원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회였고, 가진것 없는 자들은 역시 원정을 통해 어떤 수확이 있기를 기대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중세 교권과 왕권간의 긴장과 알력, 서유럽과 비잔틴 제국간의 갈등과 타협, 이슬람-비잔틴제국-서유럽간의 관계, 유럽내부에서 이단에 대한 십자군의 폭력, 종교기사단의 유래 등 중세 서양사의 다양한 이면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도 제공한다. 
 사자심왕으로 불리던 영국왕 리처드 1세, 유럽을 공포에 떨게 한 쿠르드족 출신의 아이유브 왕조 지배자 살라딘(본명은 살라흐 앗딘 유수프 이븐 아이유브), 오스만투르크의 유럽 정복 직전에 혜성처럼 나타나 유럽인들을 안도케 한 티무르, 로도스기사단과 키프로스의 역사들도 흥미롭다.  

 본문에서 콘스탄티노플을 둘러싼 기독교세계와 이슬람, 그리고 서유럽과 비잔틴제국간의 공방전을 보면서 2004년 1주일쯤 머물던 이스탄불의 기억을 떠올리게 된 것도 즐거움이었다. 책을 보면 당시의 콘스탄티노플이 얼마나 웅장한 위용을 자랑하던 도시였는지를 엿볼 수 있다.   

"아무리 그곳에 오래 산 사람이라 할지라도 콘스탄티노플의 경이를 일일이 세거나 전해줄 수 있는 사람은 이 지상에 단 한사람도 없을 것이다. 행여 누군가 그곳의 수도원과 교회들과 궁전들과 시가지에 존재하는 그 화려함과 아름다움, 고귀함을 100분의 1이라도 전한다 해도 당신은 그것을 거짓말이라 생각하고 믿지 않을 것이다"(피카르디 기사인 클라리의 로베르) (19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