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기부 자본주의'

서의동 2009. 1. 31. 18:58
신용카드를 쓰면서 쌓이는 포인트를 어떻게들 처리하시는지. 지난해 어중간하게 쌓인 포인트를 쓸 방법을 궁리하다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참 괜찮은 사용처를 발견했다. 신용카드 홈페이지에 있는 ‘사랑의 물주기’라는 기부코너. 모 복지재단과 연계, 심장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를 후원하는 곳이다. 쌓인 포인트는 현금으로 몇만원에 불과하지만 전액 털어넣고 “얼마 안되는 포인트지만 힘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짧은 글을 입력해 넣었다. 한 이틀가량은 대출이자와 생활비 등등 돈과 관련한 걱정들이 씻은 듯 사라지고 마음이 넉넉해지는 기분좋은 체험도 덤으로 얻었다. 연말에 복지재단이 보낸 기부금 영수증이 든 우편물을 뜯어보며 ‘뭘 대단한 일을 했기에’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한편으론 흐뭇했다. 

일상적으로 접하는 공간에서 손쉽게 기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등장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연말 구세군의 자선남비에 돈을 넣으려면 뭔가 겸연쩍고, 지하철이나 시내버스에서 뭇사람 시선때문에 오히려 자리양보가 서투른 이들에게 더욱 잘된 일이다.

‘창조적 자본주의’라는 말이 얼마전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에서 등장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부실의 파장이 전지구 경제를 휩쓸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열린 이 모임에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이 내놓은 제안이다. ‘자본주의가 부유한 사람들뿐 아니라 가난한 이들도 만족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는 게 요지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버는 게이츠 회장이 이런 주장을 한 것에 의아해 할 이들도 있겠지만 그는 전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자선재단을 운영하고 있고 평생에 걸쳐 280억달러(약 26조원) 가까운 재산을 기부한 세계적 자산가다. 

그가 왜 갑자기 이런 이야기를 했을까. 게이츠 회장은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최근 인터뷰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흑인 슬럼가를 방문했던 경험 등을 들며 가장 효율적인 경제체제인 자본주의가 지구상의 많은 곳에서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줄곧 고민해왔다고 신문은 전하고 있다. 윈도 운영체계를 아무리 잘 만든들 빈자(貧者)들에게는 그림의 떡일 뿐이다. 가난한 이들이 자본주의의 혜택을 받도록 하자는 창조적 자본주의는 이런 고민의 결과물이다.

외환위기 이후 10년간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현안은 ‘양극화’였다. 신자유주의가 ‘빈익빈 부익부’를 가속화한다는 양극화론은 문제의 원인을 짚기는 했지만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했다. 대신 이데올로기화하면서 사회구성원들간 감정의 골만 패어놓고 ‘내것을 채우기 위해 네것을 빼앗자’는 식의 ‘제로섬’ 문화만 퍼뜨린 느낌이다.

우리가 이처럼 양극화의 책임규명에 매달리는 동안 선진국에서는 일찌감치 다양한 해법들이 제시돼 왔고 또 모색되고 있다. ‘창조적 자본주의’담론이나 기부 등은 대표적인 예다. 미국사회가 건강성을 잃지 않는 데는 천문학적인 액수를 아낌없이 내놓는 게이츠 회장이나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같은 존재들 때문이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에 옮기는 이런 슈퍼 갑부들의 기부행위는 자본주의에 따뜻한 피를 돌게 해 동맥경화를 막는다. 기부가 늘면 빈자들이 ‘패자부활전’에 나설 수 있는 기회도 늘어난다. 

우리 사회에서도 쉽고 즐거운 기부가 확산됐으면 한다. 보다 철저한 자본주의를 이루기 위해서도 부자들은 부자들대로, 소시민은 소시민대로 간편하고 기분좋게 지갑을 열 수 있는 시스템이 퍼져나갈 필요가 있다. 요즘 우리 사회의 화두인 경제성장률을 높이는 데도 기부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자본주의 사회가 좀더 살 만하게 되는데 기부 이상의 방법을 기자는 알지 못한다.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성 벗어야 할 경제관료들  (0) 2009.04.20
로제타와 한국사회  (0) 2009.03.02
통상교섭 조직도 바꿔라  (0) 2009.01.08
MB정권의 막말들  (0) 2009.01.05
종잡을 수 없는 MB  (0) 2008.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