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한류의 원조는 정치다

서의동 2012. 1. 27. 10:48
지난해 부임해 만난 일본인들은 대개 ‘케이포푸’(K-POP의 일본식 발음)와 한국 드라마, 도쿄 신오쿠보(新大久保)의 코리안타운을 화제로 올리며 한국에 호감을 표시했다. 그런데 가끔은 이렇게 한마디 덧붙이는 이들도 있었다. “이명박 정부도 잘하고 있지 않습니까.” 
 
그냥 넘어가선 안되겠다 싶어 “그건 오해고, 사실은 이렇다”고 설명하면서도 외국인에게 내 나라 정부의 문제점을 언급해야 하는 개운치 않은 경험이 몇번 있었다. 
 
일본인들이 ‘이명박 정부가 잘하고 있다’고 착각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이명박 정부가 한·일관계를 ‘소리나지 않도록’ 관리해온 점이다. 이명박 정부의 대일 태도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쪽에 방점이 찍혀 있었고, 이 점이 일본인들에게 호평을 받았던 것이다. 
 
다른 하나는 자유무역협정(FTA)이다. 한국의 정부·여당은 국민의 반대를 무릅쓰고 미국과 체결한 FTA를 날치기로 비준했다. 일본에선 한국 정부가 돌파력이 있다고 평가하는 이들이 있었다. “한국이 무서운 기세로 FTA를 체결하면서 일본수출이 불리해지고 있으니 분발해야 한다”는 식의 경제기사들도 꽤 있었다. 외국인들에겐 성장률이 높고 그 나라 제품이 잘 팔리면 ‘뭔가 잘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게다가 리더십을 상실한 일본의 정치풍토를 감안하면 한국의 ‘무모함’이 단호함으로 비칠 수도 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여당의 참패로 끝나고, ‘선관위 디도스 공격사건’ 같은 추문들이 불거진 뒤로는 주변에서 이런 말을 건네는 이들이 줄어들었다. 이명박 정부가 얼마나 한국 국민을 멍들게 했는지 일본인들도 어렴풋이 알게 된 것 같다. ‘한류는 좋지만, 정치는 엉망이고 국민은 존엄을 잃은 나라’. 외국에 비친 한국의 ‘쌩얼’은 이런 정도일 것 같다. 
 
지금은 고인이 된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근태 의원/뉴시스,theacro.com 

사실 한류의 뿌리는 정치, 정확히는 한국 국민의 민주주의의 역량에 있다. 일본인들 중에선 한국 국민들이 엄혹한 군사정권 하에서도 반독재 민주화를 위해 싸워온 것에 경의를 표하는 이들이 많다. 역사사회학자 우쓰미 아이코(內海愛子) 전 케이센대학 교수는 한국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민주화운동은 일본의 진보학계나 단체들에게 한국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인식을 바꾸는 역할을 했다”고 했다.

군사법정에서 사형선고를 받은 정치인, 지역감정을 깨겠다며 질게 뻔한 선거에 뛰어든 정치인이 결국 대통령에 오르는 민주주의의 역동성이 한류의 바닥을 탄탄히 다졌다. 20세기 전반 군국주의로 치닫다가 패전 뒤 미군정에 의해 이식된 ‘온실 민주주의’ 만을 경험해온 일본인들에게 한국의 민주주의사(史)는 부러운 자산이다.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가 들려준 일화 한토막. 고 김대중 대통령이 퇴임 후인 2005년 5월 도쿄대 초청으로 방일했다. 와다 교수가 강상중 교수와 함께 영접을 위해 하네다 공항에 나가보니 100명 남짓한 일본 여성들이 로비에서 마침 그날 일본에 오는 한류스타를 기다리고 있었다. 우연히 노벨문학상 수상자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가 공항 로비에 나타났지
만 그의 얼굴을 알아보는 이는 드물었다. 
그런데 김 전 대통령이 휠체어에 앉은 채 입국장에 모습을 드러내자 한류팬들이 일제히 환성과 박수를 보냈다고 한다. 와다 교수는 “그러고 보면 김대중이란 인물자체가 한류의 원조인 셈”이라고 말한다. 
 
두 차례의 선거가 있는 올해 한국은 ‘정치한류’를 다시 꽃피울 기회를 맞았다. 국민의 존엄을 지킬 정치인들을 뽑는 ‘민주주의의 축제’를 멋들어지게 치르면 정치한류는 만개할 것이다. 우리는 축제를 치를 역량이 이미 충분히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