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오늘

'죽음의 땅' 돼가는 후쿠시마

서의동 2011. 4. 1. 10:58

후쿠시마 원전 인근 바닷물에서 기준치의 4385배에 달하는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 원전 사고 이후 주변 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반경 20㎞ 지역 출입금지를 검토하고 있고,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대피권역을 반경 40㎞지역으로 확대하라고 일본 정부에 권고했다. 후쿠시마 인근 지역이 점차 ‘죽음의 땅’이 돼 가는 양상이다.


일본 원자력안전보안원은 31일 후쿠시마 제1원전의 1∼4호기 남쪽 배수구 부근의 바닷물을 조사한 결과 법적 기준치의 4385배에 달하는 방사성 요오드131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원전사고 이후 같은 지점에서 검출된 최고치로, 지난 26일(기준치의 1850배), 29일(3355배) 측정치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냉각 기능이 정상 가동되고 있는 5호기와 6호기의 북쪽 배수구 부근의 요오드131 농도도 지난 30일 기준치의 1425배에 달해 원전 주변 배수구와 터빈실 등에 고여있는 고농도의 오염수가 누출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원전주변 오염 상황이 심각해지자 일본 정부는 이미 대피 지시를 내린 바 있는 제1원전 반경 20㎞지역에 대해 출입금지를 검토하고 있다. 이 지역에 살다가 피난한 주민들이 종종 귀가하는 일이 벌어지자 후쿠시마현이 감시를 강화해 달라고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 IAEA는 “후쿠시마 원전에서 북서쪽으로 40㎞떨어진 이타테 마을에서 측정된 방사선량이 대피기준을 초과했다”며 대피권역 확대를 권고했다. 이 지역의 토양의 요오드131과 세슘137의 양은 1㎡당 200만Bq(베크렐)로 대피 기준의 약 2배였다. 이 마을 수돗물에서는 지난 20일 기준치(㎏당 300Bq)의 3배가 넘는 방사성요오드가 검출된 바 있다.
 
IAEA의 권고와 관련, 에다노 유키오 관방장관은 이날 “장기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면 대피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혀 이를 수용할 뜻을 비쳤다. 정부는 이와 별도로 원전 반경 30㎞내 주민을 대상으로 정기 무료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전 전체를 폐쇄할 방침을 세운 가운데 원자로 폐쇄에 수십년이 걸리고 폐쇄비용도 최소 8조원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원전 해체 작업은 우선 외부전원을 설치해 원자로 냉각장치를 정상 가동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 이어 원자로 냉각정지→노심제거 및 핵연료 반출→발전기 등 설비해체→원자로 절단 및 매몰 순으로 진행되는데, 원자로 냉각정지와 핵연료 반출 등에만 수개월~수년이 걸린다. 또 반출된 핵연료 방사선량의 감소에도 수 년이 필요하다. 실제 일본의 상업원전 중 처음으로 폐쇄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이바라키현 도카이 원전은 1998년 운전이 종료됐지만 완전 폐쇄 시점은 2021년으로 잡혀 있다. 무려 23년이 걸리는 셈이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은 지진과 쓰나미로 시설이 크게 훼손된데다, 방사성물질 오염수로 원자로 냉각작업이 사실상 중단돼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상적인 원전의 폐쇄보다 훨씬 힘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요미우리신문은 마쓰우라 쇼지로 전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의 말을 인용, “우선 오염을 낮추는 작업에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20∼30년은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폐쇄비용도 엄청나다. 2009년 1월 가동을 종료한 시즈오카현 하마오카 원전의 사례를 토대로 계산하면 후쿠시마 제1원전의 1∼6호기를 모두 폐쇄할 경우 6000억엔(약 8조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