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8/14 4

‘침략’ ‘사죄’ 모르는 아베, 한·중과 더 멀어진다

ㆍ‘영토분쟁에서 역사분쟁으로’ 동북아 긴장 고착화ㆍ장기집권 발판 마련하자 평화헌법 무력화 ‘본색’ 지난해 독도·센카쿠 영유권을 둘러싸고 불거진 동북아의 긴장은 올해 들어 고착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갈등이 영토분쟁에 집중됐다면 올해 갈등은 역사인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그 중심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자리 잡고 있다. 식민지 지배와 침략에 대해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 아베 정권에 한국과 중국은 반발하며 관계 회복을 미루고 있다. 아베 정권은 참의원 선거 승리로 장기집권의 발판을 마련하자 평화헌법을 무력화하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 추진을 가속화하면서 긴장을 키우고 있다. 지난 4~5월에 걸쳐 불거진 ‘역사인식’ 파동은 아베 총리가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밝히면서 일단 수면 밑으로..

일본의 오늘 2013.08.14

일본 5개 도시서도 위안부 피해자 기려… 도쿄선 가두 행진

ㆍ“유엔기념일 지정” 촉구 일본의 양심세력들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보상을 촉구하며 도쿄의 도심거리를 행진했다. 일본의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시민단체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전국행동’ 회원 200명은 14일 저녁 도쿄 신주쿠(新宿)구 가시와기(柏木)공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메모리얼 데이’ 행사를 열고 신주쿠 일대를 행진하며 8월14일을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리는 유엔기념일로 지정할 것을 촉구했다. 일본 도쿄 가시와기 공원에서 14일 저녁 열린 일본군 위안부 메모리얼 데이 집회 참가자들이 ‘일본군 위안부 메모리얼 데이를 유엔기념일로’라고 쓰인 플래카드를 들고 행진하고 있다. 도쿄 | 서의동 특파원 집회 참가자들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이름을 적은 등(燈)과 서울 주한일본대사관 앞..

일본의 오늘 2013.08.14

일, 집단 자위권 행사 대상에 ‘한반도 유사시’ 명기 검토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추진 중인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한반도 유사시’를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필요가 있는 구체적인 사례로 거론할 방침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14일 보도했다. 남북한 무력충돌 등 한반도 유사시에 자위대가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겠다는 의미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와 관련한 자민·공명 연립여당과의 당정 협의 때 사용할 사례집에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불허하는 현행 헌법 해석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구체적인 케이스로 ‘한반도 유사시 미군 지원활동’을 명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또 ‘일본으로 원유를 운반하는 해상 교통로에서의 기뢰 제거 작업’도 현재의 헌법 해석으로 대응이 곤란한 사례로 명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

일본의 오늘 2013.08.14

아베 “야스쿠니 안 가는 대신 공물료 봉납” 8·15 대리참배 꼼수

ㆍ한·중 의식해 총리 아닌 자민당 총재 명의 납부ㆍ“임기 중 참배 의지 보수층에 보여주기 위한 것”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국의 광복절이자 일본의 패전일인 15일 야스쿠니(靖國)신사에 본인 명의로 공물료를 봉납할 것으로 알려졌다. 마음은 참배를 하고 싶지만 한국·중국 등의 반발을 우려해 직접 가지 않는 대신 ‘대리참배’라는 꼼수를 쓰려는 것이다. 아베 총리는 대신 19세기 말 ‘정한론(한국정벌론)’을 주장했던 요시다 쇼인(吉田松陰·1830~1859)을 기리는 ‘쇼인(松陰)신사’를 참배했다. NHK와 교도통신 등은 아베 총리가 14일 야스쿠니에 참배하지 않는 대신 대리인을 통해 ‘자민당 총재 아베 신조’ 명의로 다마구시(玉串·물푸레나무 가지에 흰 종이를 단 것)료를 사비로 낼 방침이라고 보도했..

일본의 오늘 201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