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8 39

아베 ‘반성 없는 추도사’ 일본 내부서도 역풍

ㆍ언론·야당 “용인할 수 없다” 지적ㆍ“총리, 추도사 기획부터 주도” 보도에 야스쿠니 분사 등 대안모색 제안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8·15 추도사’에서 과거 아시아 국가에 대한 가해 사실과 그에 대한 반성을 생략한 데 대해 일본 안에서도 비판이 일고 있다. 각료 3명과 100여명의 국회의원이 A급 전범이 합사돼 있는 야스쿠니(靖國) 신사를 집단 참배해 한국, 중국의 반발을 산 것과 관련해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아사히신문은 16일 해설기사에서 아베 총리의 8·15 추도사를 ‘아베색’이 진하게 밴 것이자 일본 내부에 주안점을 둔 메시지였으나 국제사회를 자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또 사설을 통해 추도사에서 생략된 내용들이 1995년 식민지배와 침략을 반성하고 사죄한..

일본의 오늘 2013.08.16

아베, 역대 총리 다 했던 ‘반성’ 언급 안 했다

ㆍ‘전쟁 않겠다’ 맹세도 생략 파문… 각료 3명 등 신사 참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일본의 패전일인 15일 개최된 ‘전국전몰자추도식’에서 역대 총리들과 달리 ‘아시아국들에 대한 가해와 반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이날 도쿄 부도칸에서 일왕 부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추도식 식사에서 “역사에 겸허하고 배워야 할 교훈은 깊이 가슴에 새기겠다”고 밝혔으나, 1994년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총리 이후 역대 총리들이 8·15 전몰자추도식에서 표명해온 ‘가해와 반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매년 총리 추도식사에 들어 있던 ‘부전(不戰)의 맹세’ 문구도 생략됐다. 이는 식민지 지배와 침략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표명한 ‘무라야마 담화’를 부정하는 것으로 받아..

일본의 오늘 2013.08.15

일본 ‘8·15 패전일’ 야스쿠니 신사 르포

옛 일본군복 입은 노인들, 기미가요 속 행진 ‘우익 해방구’ ㆍ일본 ‘8·15 패전일’ 야스쿠니 신사 르포 “‘받들어 총’을 어떻게 하는지 시범을 좀 보여주세요.” 15일 오전 일본 도쿄 중심가 지요다(千代田)구 구단시타(九段下)에 위치한 야스쿠니(靖國) 신사 광장 한쪽에서 20대로 보이는 일본 젊은이의 요청을 받은 구일본군 병사 차림의 노인은 허리춤에서 대검을 꺼내 구식 소총에 장착했다. 노인은 “엄지손가락이 총과 수평이 되도록 한다”며 시범을 보였고, 구경하던 이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연신 휴대전화 카메라 셔터를 눌러댔다. 노인 옆에는 역시 군복 차림의 젊은이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쓰였을 법한 낡은 욱일승천기를 들고 의기양양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일본의 패전일인 이날 야스쿠니 신사는 우익세력들의 해방..

일본의 오늘 2013.08.15

[기자메모] 야스쿠니행 소동 한국 의원들 ‘씁쓸한 정치쇼’

14일 저녁 일본에 입국한 민주당 이종걸, 이상민, 문병호 의원과 이용득 최고위원은 광복절인 15일 아침 도쿄 지요다(千代田)구 구단시타(九段下)에 있는 야스쿠니(靖國) 신사에서 아베 정권의 우경화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기 위해 시내 호텔을 나섰다. 하지만 이른 아침부터 호텔에 일본 경찰 수십명이 찾아와 이들의 야스쿠니행을 가로막았다. 우여곡절 끝에 출발했지만 기자들이 대기하고 있는 신사 입구에는 접근조차 할 수 없었다. 입구 근처에서 감색 제복을 입은 우익단체 회원들이 거친 언사를 퍼부으며 접근하려 하자 경찰들이 신사에서 수백m 떨어진 곳으로 의원들을 격리시켰기 때문이다. 주택가도 상가도 아닌 어정쩡한 장소로 격리된 의원들은 입장을 표명했고, 신사 방향으로 행진하려다 경찰들과 몸싸움을 벌였다. 기자들..

칼럼 2013.08.15

‘침략’ ‘사죄’ 모르는 아베, 한·중과 더 멀어진다

ㆍ‘영토분쟁에서 역사분쟁으로’ 동북아 긴장 고착화ㆍ장기집권 발판 마련하자 평화헌법 무력화 ‘본색’ 지난해 독도·센카쿠 영유권을 둘러싸고 불거진 동북아의 긴장은 올해 들어 고착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갈등이 영토분쟁에 집중됐다면 올해 갈등은 역사인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그 중심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자리 잡고 있다. 식민지 지배와 침략에 대해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 아베 정권에 한국과 중국은 반발하며 관계 회복을 미루고 있다. 아베 정권은 참의원 선거 승리로 장기집권의 발판을 마련하자 평화헌법을 무력화하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 추진을 가속화하면서 긴장을 키우고 있다. 지난 4~5월에 걸쳐 불거진 ‘역사인식’ 파동은 아베 총리가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밝히면서 일단 수면 밑으로..

일본의 오늘 2013.08.14

일본 5개 도시서도 위안부 피해자 기려… 도쿄선 가두 행진

ㆍ“유엔기념일 지정” 촉구 일본의 양심세력들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보상을 촉구하며 도쿄의 도심거리를 행진했다. 일본의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시민단체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전국행동’ 회원 200명은 14일 저녁 도쿄 신주쿠(新宿)구 가시와기(柏木)공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메모리얼 데이’ 행사를 열고 신주쿠 일대를 행진하며 8월14일을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리는 유엔기념일로 지정할 것을 촉구했다. 일본 도쿄 가시와기 공원에서 14일 저녁 열린 일본군 위안부 메모리얼 데이 집회 참가자들이 ‘일본군 위안부 메모리얼 데이를 유엔기념일로’라고 쓰인 플래카드를 들고 행진하고 있다. 도쿄 | 서의동 특파원 집회 참가자들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이름을 적은 등(燈)과 서울 주한일본대사관 앞..

일본의 오늘 2013.08.14

일, 집단 자위권 행사 대상에 ‘한반도 유사시’ 명기 검토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추진 중인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한반도 유사시’를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필요가 있는 구체적인 사례로 거론할 방침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14일 보도했다. 남북한 무력충돌 등 한반도 유사시에 자위대가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겠다는 의미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와 관련한 자민·공명 연립여당과의 당정 협의 때 사용할 사례집에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불허하는 현행 헌법 해석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구체적인 케이스로 ‘한반도 유사시 미군 지원활동’을 명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또 ‘일본으로 원유를 운반하는 해상 교통로에서의 기뢰 제거 작업’도 현재의 헌법 해석으로 대응이 곤란한 사례로 명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

일본의 오늘 2013.08.14

아베 “야스쿠니 안 가는 대신 공물료 봉납” 8·15 대리참배 꼼수

ㆍ한·중 의식해 총리 아닌 자민당 총재 명의 납부ㆍ“임기 중 참배 의지 보수층에 보여주기 위한 것”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국의 광복절이자 일본의 패전일인 15일 야스쿠니(靖國)신사에 본인 명의로 공물료를 봉납할 것으로 알려졌다. 마음은 참배를 하고 싶지만 한국·중국 등의 반발을 우려해 직접 가지 않는 대신 ‘대리참배’라는 꼼수를 쓰려는 것이다. 아베 총리는 대신 19세기 말 ‘정한론(한국정벌론)’을 주장했던 요시다 쇼인(吉田松陰·1830~1859)을 기리는 ‘쇼인(松陰)신사’를 참배했다. NHK와 교도통신 등은 아베 총리가 14일 야스쿠니에 참배하지 않는 대신 대리인을 통해 ‘자민당 총재 아베 신조’ 명의로 다마구시(玉串·물푸레나무 가지에 흰 종이를 단 것)료를 사비로 낼 방침이라고 보도했..

일본의 오늘 2013.08.14

아베 각료 신사참배 강행할까… ‘8·15’가 한·일관계 분수령

ㆍ박 대통령 취임 첫 광복절 경축사 내용에도 관심 한국의 광복절이자 일본의 패전일인 8·15가 최악의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일 관계의 향방을 좌우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이 경축사에 담을 메시지와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 강도가 양국 관계를 나락으로 떨어뜨릴지, 관계 회복의 모멘텀을 제공할지를 결정지을 것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박 대통령의 취임 후 첫 8·15 경축사를 긴장 속에 주시하고 있다. 일본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취임 이후 급격한 우경화 움직임을 보이면서 양국 관계가 최악으로 치달은 상황에서 이뤄지는 광복절 기념 연설에는 박 대통령의 대일인식과 향후 정부의 대일외교 기조가 고스란히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앞서 3·1절 ..

일본의 오늘 2013.08.13

일본 자위대 군사전략 ‘방어 차원’서 ‘공격형’으로 전환하나

ㆍ미·일 합동 훈련 핑계, 잦아지는 자위대 ‘군사 훈련’ 일본 항공자위대가 지난해 미군과의 합동훈련에서 미군의 전략폭격기 B52를 지원하는 훈련에 참가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적지 않은 파장을 부르고 있다. 일본 전문가들은 자위대의 이 훈련이 자위권 차원을 넘어 미국이 주도하는 전쟁에 가담하는 것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마저 제기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용인하지 않는 일본 정부의 현행 방침에 위배되는 이런 훈련이 국회의 논의를 거치지 않는 등 ‘문민통제’를 벗어나 이뤄졌다는 점도 일본 사회에 충격을 던지고 있다. ▲ 2010년 하와이서 열린 ‘림팩’에선 해상 포격훈련도 “미 주도 전쟁 참전 상정”… ‘문민통제’ 원칙도 사라져 자위대는 전수방위(專守防衛) 원칙에 따라 자위에 필요한 최소한의 ..

일본의 오늘 2013.08.13